top of page

​<예술청 2020>

예술인이 재난을 대하는 가지가지 비법

2. 예술인이 재난을 대하는 가지가지 비법 썸네일.PNG

2020년 4월 예술청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예술 활동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여 재난을 우리가 함께 이겨내자는 취지로 기획공모사업 <예술인이 재난을 대하는 가지가지 비법>을 기획하였습니다.


코로나19 등 각종 재난위기가 닥쳤을 때, “예술인이 어떻게 대응하고 예술활동을 지속하며, 생존할 수 있는가”를 말을 건네 보며, 예술인(단체) 각자의 방식으로 이를 마주하거나 극복하는 방법을 함께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이에 삶과 예술의 지속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실행-공유하고자 다양한 분들이 참여를 해주었습니다. 접수기간 동안 '위로와 연대의 실험', '재난에 대한 문제의식의 확장', '진지한 예술적 탐구', '행정 제도의 보완' 등 가지가지 비법들이 제시되었고, 최종적으로 37명(팀)이 선정되었습니다. 최종 선정된 37명(팀)이 각자의 가지가지 비법을 어떻게 실행했는지 그 과정을 예술청 베타 홈페이지를 통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참여 37팀

썸넬썸넬썸넬-01.png

​공현진, <코로나 백신(百神)연구>

'코로나' 라는 재난상황 속에서 예술가는 무얼 할 수 있을지 ? 라는 의문에서 시작된 프로젝트 . 의학 목적의 ‘ 백신 ’ 에서 음을 차용해 코로나 19 를 막는 100 가지 신(百神)들의 형상을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이모티콘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그려냄 . 작업 과정에서 < 조선의 귀신 >, < 동양 요괴 도감 > 등의 기존 연구서적들을 참고하여 상상 속 존재들에 대한 구체적 이미지와 내용을 가미함 .

곽태관_업로드이미지.png

​곽태관, <우울증에 대처하는 우리들의 액팅>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은 이미 많이 알려져있다고 생각하여 우울증을 겪었던 ‘사람’에게 집중하는 방향으로 촬영. 어떻게 극복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는지 잔잔하게 들려준다. 거창한 해결방식이 아니라서 더욱 와닿고, 억지로 ‘극복’하려하는 것이 아닌 내 안에서부터 우울증을 지워나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김경선_업로드이미지.png

​김경선, <Zoom 아파트 반상회>

코로나19 상황 속, Zoom이라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새로운 관계 맺음 방식을 탐구. 담임 선생님을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아이들이 Zoom을 통해 선생님과 소통하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코로나19를 지내는 예술인들의 영상을 모아 타임캡슐을 제작. 2023년에 이 모든 상황이 종식되어있기를 바라며, 지금의 일상이 그 때에 어떻게 기억될지 알아보려는 시도.

김기태_업로드이미지-01.png

​김기태, <초간단 안방 연극>

<초간단 안방 연극> 프로젝트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진 요즘 온가족이 집에서 함께 할 수 있는 놀이, 연극을 만들고 소통하려는 시도. 공연예술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져도 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과 함께 사람과 사람이 함께하는 ‘대면’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 알 수 있었던 프로젝트.

김두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김두진, <밥은 먹고 다니니?>

한국인의 가장 기본적인 인사이자 안부, “밥은 먹고 다니니?”. 총 4번의 챌린지 진행(실제 전달받은 인원은 약 50명). 네 가지 질문이 적힌 인터뷰지를 작성하고 건네며 서로의 안부를 물었음. 인스타그램 소통창구(@doyou_bb)에 게시하여 챌린지에 참여하지 않아도 함께할 수 있도록 배려. 전통적 형식의 예술은 아니지만 마음을 나누는 행위 자체가 일상 속 예술임을 실감.

김예나_업로드이미지-01.png

김예나, <Quarantine Kunst Party 2020(격리예술축제 2020)>

Co-writing(함께 희곡쓰기), Reading(낭독), 그리고 Art relay(릴레이 형식의 온라인 예술작품 전시)의 3가지 파트로 나뉘어진 국제 예술가들이 교류하는 온라인 파티.

​일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예술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모두가 자신만의 예술성을 발견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

김정은_업로드이미지-01.png

김정은, <동접-계>

함께 시간 보내는 방법, 어떤 것을 남길것인가 하는 고민, 과정을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언뜻 간단해보이지만 함께한다는 것이 어려운 코로나19 상황 속 여전히 많은 예술인들의 마음 속에 상황을 극복하고 예술을 계속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음을 확인.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예술인 상을 함께 고민하고 이를 실현하려는 아티스트들의 '동접-계'.

김호연_업로드이미지-01.png

​김호연, <예술가의 시간을 아껴드립니다>

세무, 회계 등 행정업무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인을 위한 프로젝트. 항상 궁금했지만 창작 활동 때문에 뒷전이었던 궁금증들을, 코로나19로 인해 생긴 ‘남는 시간’에 풀어봄. 이것이 단순히 ‘행정’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결론적으로는 예술 생태계 발전과 더불어 예술가들이 생계를 유지하고 삶을 지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취지.

김화슬_업로드이미지-01.png

​김화슬, <너에게 예술을 보낸다>

각종 재난 상황에서 ‘ 구호물품 ’ 이 지급되듯이 , 코로나 19 로 일상이 멈춘 사람들에게 ‘ 아트 키트 ’ 를 보내는 프로젝트 . 참여자들이 각기 다른 상자 속 재료들로 활동한 결과를 이메일로 보내면 , 이를 SNS 채널을 통해 공유하며 의미가 생성됨 . 참여자는 내재된 창조성을 찾을 뿐 아니라 가족 , 친구들과 함께 하며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가고 , 작가는 비대면의 상호작용 속에서 창작활동을 이어갈 힘을 얻는 프로젝트

박소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박소진, <수어이미지북>

소리를 보여주는 사람들이라는 이름을 가진 학교, 소보사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며 서로의 손에 수어 이미지를 그려내어 책으로 만든 프로젝트이다. 정확한 수어와 농 문화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방법에 대해 예술가와 농인이 함께 모색해 만들어나간 프로젝트.

박현지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박현지, <2020 서울 데카메론>

 이탈리아 근대소설 “데카메론”에서 영감을 얻은 프로젝트. 원작은 갇힌 남녀 10명이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이를 책으로 담은 것. 원작을 오마쥬해 온라인 상에서 형태, 표현방식, 내용, 분량에 제한 두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쏟아낸 17명의 예술인들. 1차적으로는 이들에게 참여비를 지급해 생계에 도움을 주고자, 궁극적으로는 코로나19와 같은 상황 속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펼칠 수 있도록 한 프로젝트.

서호영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서호영, <댄스스포츠, 따로 또 같이>

왈츠, 퀵스텝, 탱고, 폭스트롯, 롬바. 댄스스포츠의 다섯 가지 스탠다드 종목을 ‘비대면’으로 진행. 자신만의 장소에서 소품, 의상 등을 갖추고 ‘대면’없이 댄스스포츠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 단순 감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상을 보는 사람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춤 홈트’ 영상을 함께 제작해 대면 스포츠를 비대면으로 풀어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참여까지 독려하는 프로젝트.

성수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성수진, <Play mob->

미디어 기술과 GPS를 활용해 진행한 땅따먹기. SNS로 모인 참가자들이 각자 제한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땅을 먹고 이 과정에서 운동과 놀이가 병행. 타인과 함께 할 필요 없이 결과 공유 가능. 참가자들이 촬영에 익숙하지 않아 과정은 어려웠지만 단순한 형태의 땅따먹기에서 시작해 비슷한 기술을 이용한 다른 프로젝트까지 진행할 힘을 얻은 계기가 됨.

성스런_업로드이미지.png

​성스런, <방구석댄스챌린지>

기존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댄스 배틀’을 온라인으로 옮김. 하루, 혹은 이틀이면 끝날 대회가 몇 배의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으며 게시물마다 검토 과정을 거침. 기존과 다른 공간, 심사 방식 등에서 반발이 있었지만 온라인에서도 충분히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프로젝트.

손준우(고요손)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고요손, <Birthplace>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손이 가지 않던 물품들을 재료삼아 새 오브제로 탄생시키는 프로젝트. 집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며 집 밖으로 쏠려있던 관심을 안으로 돌리는 과정. 오브제를 만들면서 잊혀졌던 방안의 물건들을 자연스레 기억하고,추억하게 하는 방법. 오브제 뿐만 아니라 작가 스스로도 변화하고 탐색하게 되는 프로젝트.

송현석_업로드이미지.png

​송현석, <포터스 프로젝트>

공연장에서 라이브로 진행되고, 또 실황을 듣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음악 공연 예술을 비대면으로 이루는 프로젝트. 비대면으로도 합주하고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으나 동시에 기술적 문제 발생. 함께 연습한 뒤 이를 합치는 것은 가능하나, 라이브 공연 등에서는 싱크 문제와 딜레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 하지만 충분한 가능성과 새로운 플랫폼을 발견한 것이 큰 의의.

윤보미_업로드이미지.png

​윤보미, <방구석 클래식 오디오 클립>

클래식 예술계를 중심으로 집에서, 연습실에서 열심히 연습하는 아티스트들고 ㅏ이들과 함께하는 기획자를 초대해서 이들의 음악과 더불어 코로나19 상황을 살아가는 예술에 관한 지혜를 함께 공유하는 오디오 팟캐스트.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담론도 함께 나눈다.

이도윤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도윤, <조립식 영화>

서로 다른 공간에서 촬영한 영상들을 짜깁기해 하나의 영화로 편집. 전문 배우가 아닌 지인이 출연해 거의 모든 촬영을 홀로 진행했고 감독은 후에 메모리 카드를 수거해 편집 및 다른 배우와의 장면을 합성함. 어느 정도의 애로사항은 있었으나 생각 외로 촬영과 합성, 녹음이 원만하게 진행됨. 현장성이 중시되던 촬영이 다른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 본 프로젝트.

이동화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동화, <비애클럽 온라인 페스티벌>

본래 약 1년간 진행해오던 실험-전자음악 공연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구현한 행사. ‘언택트’ 시대상을 반영하여 ‘비대면’으로 공연을 구현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Youtube, Twitch, Zoom 등을 채택하여 관객과 새로운 소통의 가능성 뿐만 아니라 타 예술 분야와의 협력까지도 시도한다. ‘페스티벌’이라는 다각적 시도를 통해 다채로운 경험을 이끌어낸 프로젝트.

이려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려진, 김소윤, 봄로야, 조말, <리얼페이크뉴스 프로젝트>

재난 속 다양한 층위의 모습과 이를 통해 포괄적 난관을 극복하려는 시도. 코로나19 상황 이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앞으로 자연과 공존하는 법을 배우고, 시야를 확장시키는 하나의 단계. 단순히 자연과 인간의 이분법 구조를 넘어 다양한 계층에 대한 인식도 넓히고자 함. 코로나19 상황이 끝나지 않았고 앞으로 다른 상황 역시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과 공유보다는 과정을 드러내고 많은 이들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시작한 프로젝트.

이승용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승용, <시시콜콜 시시알콜>

전통주에 한 번 취하고, 시집에 한 번 취하고! 일주일에 한 명씩 시인을 정해 시집을 소개하고 이에 어울리는 전통주 패키지를 제작해 집에서 팟캐스트를 보며 전통주를 마실 수 있는 컨텐츠. 자칫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시를 시인을 통해 직접 듣고, 새로운 전통주도 마시며 ‘비대면’ 상황에서도 예술에 관한 소통을 진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 가볍게 진행되어 재미와 유익함을 동시에 챙길 수 있다.

이인식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인식, <배우극장-자체제작 고군분투 좌충우돌 다큐멘터리>

전원 연극배우 출신인 출연진, 스텝이 모여 코로나19 상황과 배우에 관해 시나리오를 쓰고 단편영화를 촬영. ‘대면’이 생명인 공연 예술계가 코로나19 상황 속 언택트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배우들이 함께 모여 어떤 아이디어들을 나누는지 볼 수 있는 자리. 유튜브에 ‘김박이삼 필름’ 계정명으로 업로드 될 예정.

이종섭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종섭, <오디오 연극열전 페스티벌>

코로나19로 인해 세상에 나오지 못한 기획, 읽히지 못한 대본 등을 모아 온라인으로 오디오 클립을 만들어 방송하는 <오디오 연극열전>. 많은 작가들과 팀들이 신청하였고 총 3개 팀을 선정해 이들의 극본을 오디오 연극으로 제작. 물리적인 무대는 아니지만 비록 음성으로나마 대본을 공유하게 됨.

이현민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이현민, <멀어진 거리만큼 예술로 가까워지는 공간의 이야기>

코로나 19 이전의 협업이 함께 모여 머리를 맞대고 아이디어부터 구상, 실행까지 함께 하는 것이었다면, 언택트 시대를 마주한 예술가들이 서로의 시간과 공간, 주제를 공유하지 않고 단지 음악으로 표현된 하나의 생각에 5명의 무용수가 각각의 생각을 담아 움직임으로 만들어 냈을때 어떤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지에 대한 실험의 과정이다.

임세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임세진, <이웃집 예술가를 찾습니다>

이태원 인근 우사단로를 중심으로 7월까지 네 명의 이웃집 예술가들을 만나 인터뷰 진행. 장르, 성별, 국적 모두 다양성을 두어 코로나19 상황 속 최대한 많은 사례를 접하고자 함. 코로나19로 인해 느낀 점들을 듣고 인쇄물로 오프라인 배포 및 블로그에 전문 게재, 인스타그램에 사진과 함께 내용을 업로드.

장수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장수현, <우리는 오늘도-재난을 이겨내는 작은 일상>

코로나 블루도 잊게 만들 귀염둥이 가지가지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우리는 오늘"! 예고없이 맞게 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소소한 즐거움과 빛나는 순간들을 찾아 나선 우리들의 이야기가 모여 세 편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탄생했다. 올해 연말 중독성있는 음악과 공감 가득한 내용으로 찾아올 가지가지의 일상!

장혜진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장혜진, 임지애, 김재리 <얽힘 레지던시>

거리두기 안에서도 작동하는 힘과 연결성이 있다. 그 힘의 현상은 “양자얽힘” 혹은 “인탱글먼트Entanglement”라 불린다. 이는 떨어져있는 두 개가 본래 하나였다는 전제에서 전개되는 물리학 이론으로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도 동시적인 교감이 가능하다. 거리두기와 잠시멈춤 안팎에서 작용하는 얽힘의 운동성을 예술적 실천으로 실험하는 프로젝트는 어떤 모습일까? 텔레파틱 비대면 기술감각을 활용한 가상의 레지던시는 어떤 모습일까?

정다정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정다정, <Cross-over, 밀실에서 광장을 꿈꾸다>

다른 공연예술인이 그렇듯이,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이 어려워지고 공연과 음악 활동에 제약이 생긴 뒤 새로운 것을 ‘공부’해보자는 마음으로 여럿이 모여 전통음악 공부 시작. 한 쪽 길이 어려워져 나머지 길을 뚫는것이 굉장히 의미있었던 프로젝트. 공부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음원까지 제작해 이를 공유할 예정.

정용환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정용환, 박현웅(올댓지크루), <응급 아트캔 챌린지 프로젝트>

응급 상황에서 구호 물품을 전달받듯이, 예술활동을 지속할 수 없고 예술을 감상하기 어려운 코로나19 상황에서 주고받는 “응급 아트 캔”. 미술도구, 조각그림, 간식이 들어있는 응급 아트캔을 받은 사람은 미술도구로 주어진 밑그림에 색칠해 SNS에 공유. 이렇게 색칠되어 모인 조각그림들을 한데 모아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 함께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함께하는 것의 의미를 담은 프로젝트.

정은영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정은영, <이왕 이렇게 된 거 가락이라도 뗀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져 ‘집에서 할 수 있는 것’을 찾다가, 어릴 적 배웠지만 많은 사람이 기억하지 못 하는 전통가락을 다시 한 번 배워보고, 이 가락에 맞는 ‘가락국수’를 만들어먹는 키치한 프로젝트. 

정은지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정은지, <Komm, gib mir Deine Hand>

2m라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착안, 2m 의 키를 가진 퍼포먼스 작가 Attache des Arts 와 1.5m 길이의 젓가락으로 럭키코인을 나누어주는 프로젝트. 다양한 장소에서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이를 영상, 그림 등으로 남겨 많은 이들과  공유. 함께할 수 없는 상황과 공간에서 최소한의 공간인 ‘2m’를 상징으로 서로 소통하는 프로젝트. 함께한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정진화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정진화, <찐부부의 방구석 표류기-예술인부부의 코로나19 살아남기>

자의적으로, 또 타의적으로 ‘가장 안전하고  아늑한 곳’이 되어버린 3.5평 방구석에서 찐 예술인 부부가 코로나19라는 현실을 희희낙락 극복해가는 이야기. 청년 예술인 부부의 대담한 시도와 발상을 통해 어려운 현실에 놓인 예술인 동료들에게 찐웃음과 위로를 전하고, 방구석 예술과정 속에서 일상의 의미를 재발견하게 된 소소하지만 공감되는 프로젝트

정휘윤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정휘윤, <수장고>

미술품을 3D 스캔하여 한정된 기간동안 작품 데이터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게 하고, 일정한 조건 하에 자유로운 공유와 변형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프로젝트입니다. 데이터가 된 미술품이 웹상에서 어떻게 보여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본 웹사이트는 한달간 작품 데이터 파일이 공유된다.

조성우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조성우, <남북 1020 대국민 희망낭독 프로젝트>

유튜브 채널 “남북 1020 대국민 희망낭독 프로젝트” 개설. 남한 출신 과 북한 출신 10~ 20대들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문학작품 낭독진행 .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가 담긴 국내외 문학 10편을 통해 코로나로 지친 국민 여러분에게 온기를 전합니다.

조예은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조예은, <트렁크씨어터 프로젝트>

대면이 필수인 공연예술은 코로나19 시대에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을까.

​여행을 갈 수 없게 되어 잠시 관심에서 멀어져있던 '트렁크' 속에 무대가 세워지고, 미니어처 인물들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프로젝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작 과정부터 공연까지 온라인 관객들과 함께하며 마주한 의미있는 프로젝트.

최고은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최고은, <우정의 정원으로>

다른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서 시간을 보내기 어려워진 요즘, SNS 라이브를 통해 공동작사 진행. '우정'에 관한 키워드로 참여자들에게 사연과 이야기를 접수받고 이를 통해 작사를 진행. 망설이는 이들을 위해 '우정 응원가'라는 공동의 방향을 설정하고 진행과정 중 최고은이 작곡한 멜로디를 공유하고 참여를 독려.

​이어 음원 발표, 수익 기부 및 음원 챌린지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혜민_업로드이미지_대지 1.png

한혜민, 온라인 국제교류 프로젝트: Borders>

함께 국제교류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한 한국,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아일랜드 세 예술가가 ‘온라인’으로 창작작업 및 공연을 진행. 한혜민 예술가가 오프라인에서 공연하고 나머지 두 예술가는 실시간 화상통화를 통해 참여. 이를 오프라인 관객 및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관람하는 관객과 공유. 우리 사회 속 다양한 '경계'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새로운 시도의 온라인 연극 국제교류 프로젝트.

bottom of page